2) 지도방법

          img1.gif


  진도 음악의 특색은 <진도아리랑>을 통해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진도아리랑>은 대중적인 통속민요로서 표현이 깊은데 비해 <진도들노래>는 <진도아리랑>보다 시김새나 선율진행이 오히려 소박하여 배우기가 쉽다.

  표준악보는 긴소리와 자진소리를 적당한 길이로 편집해 놓았기 때문에 긴소리-자진소리를 통째로 인식할 수 있고, 따라서 한 곡내에서 구성음이나 장단이 변화로운 형태가 되었다. 이 간략한 노래에 육자배기토리와 경토리 두 종류의 음악적 특성이 포함되어있고, 장단도 중모리-엇중모리-중모리로 변화되어 단조롭지 않다.


(1) 음계와 시김새

  <진도들노래>의 긴소리는 육자배긴토리이고 자진소리는 경토리이므로, 육자배기토리에서는 ‘도-시’를 꺾는 점에 주의를 하고, 경토리에서는 ‘솔-도’의 4도 진행을 알면된다. [악보1]을 참고하여 가장 기본적인 선율을 먼저 익히도록 한다.


(2) 장단과 리듬

  <진도들노래>는 중모리와 엇중모리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모리는 12/4박자(12/♩)로서 비교적 잘알려져 있는 장단이고, 엇중모리는 용어가 약간 생소하지만 중모리장단의 절반인 6/4박자(6/♩)로서 보통 속도의 6박자 장단이다.

  긴소리-자진소리의 구성에 다른 음계와 시김새의 변화와 장단의 변화를 유의하여 지도하도록 한다. 가창방법이 메기고 받는 형식이므로 다른 노래와 마찬가지로 가사창작력, 선율변용력을 응용하면 더욱 좋다.

 

중모리장단

기  호

 

l

l

l

l

l

l

구  음

 

리  듬

 

 

-♪

가  사

어기

 

 

어-

-어


엇중모리장단

기  호

l

l

구  음

리  듬

가  사

어기

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