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도방법

 

(1) 음계와 시김새

  <오독떼기>는 대표적인 메나리토리이므로 메나리토리에 대한 이해 즉 '미·(솔)·라·도·레·미'의 구성음, '미''라'의 종지음, '라-솔-미' '레-도-라'의 선율형을 주지시켜야 한다. 다른 곡과 마찬가지로 1절만 익히면 되므로 먼저 기본선율을 익힌 다음 시김새를 붙여 부르게 하고, 악보보다 CD 혹은 카세트 테입 등의 음원을 활용하면 훨씬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다.

  시김새는 악보에 □표시된 꺾는부분이 대표적인 형태이므로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습한 후 전체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꺾는 부분은 모두 일곱 번이지만 세가지 형태의 꺾는방법을 반복하는 것이다. [악보2]참조. 그리고 악보와 이 노래가 실린 음원을 참고하여 여러번 듣고 따라부르기를 해본다.

가창방법은 ‘머리좋고 실한 처녀 줄’까지가 메기는 소리로서 혼자 부르고, 그 다음에 나오는 ‘줄뽕--’의 첫 글자 ‘줄’을 내어주면, 받는소리를 하는 사람이 그 소리를 받아 제창한다. 이러한 가창방식을 현지에서는 ‘얹어 부른다’라고 표현한다. 즉 앞에서 내준 가사를 얹어서 부른다는 뜻이다.

  <오독떼기>를 부르는 중간에 기분을 북돋우기 위하여 ‘뒷소구’ 혹은 ‘뒷꿍’을 하는데, 선소리자가 ‘품바’라고 하면 뒷소리꾼들은 ‘어-우우--’하며 받아 이로써 의기양양한 기세를 뽐낸다. 이 때 독창하는 사람은 계속 노래를 부른다.


(2) 장단과 리듬

  <오독떼기>는 자유리듬에다 속도가 느려 이러한 곡을 기존의 교육방법으로는 지도하기 어렵다. 박자나 장단에 의거하기보다는 몇 개의 선율패턴을 익혀 그것을 토대로 따라 부르면 배우기가 쉽다. 먼저 [악보1]에 □표시된 그 덩어리를 먼저 소화하고 그 다음 기본적인 흐름 즉 메나리토리의 선율구조를 익힌 후 따라 부르는 연습을 한다. 처음에 다소 정확하지 않게 불릴지라도 계속 연습하다 보면 저절로 제 모습을 찾게 된다. 악보는 다만 음악의 핵심을 파악하는 참고자료로 삼고, 노래는 구전심수로 배우되 몸에서 저절로 체득되는 교육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