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도방법

 

(1) 음계와 시김새

  ‘미’를 떨고 ‘라’를 평으로 내고, ‘레’에서 ‘도’로 흘러 내려 왔다가 다시 ‘라’를 평으로 내고 ‘미’를 흔들어 주면서 상행과 하행음계를 이어 연습시키며 <치기나칭칭>에 나타나는 주요음들의 유기적 흐름을 느끼게 하는 것이 좋다. 구성음인 ‘미·라·도·레’ 4음만으로 간단한 가락을 직접 만들어 보거나, 떠는 음, 평으로 내는 음과 흘러 내리는 음을 손동작으로 표시하면서 노래부르는 것도 음조직을 몸에 익히게 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2) 장단과 주요리듬

  먼저 다음과 같이 정간보에 굿거리 장구 구음과 함께 가사를 붙여 리듬을 자연스럽게 익히도록 한다.


          굿거리

기  호

 

i

 

 

i

 

구  음

 

기덕

더러

러러

 

 

기덕

더러

러러

 

가사(메김)

 

 

 

 

가사(받음)

 

 

 

 

 


         자진굿거리와 자진모리

자진

기호

 

l

 

 

l

 

굿거리

구음

 

더러

러러

 

 

더러

러러

 

자진

기호

 

 

 

 

 

l

 

 

모리

구음

 

 

 

 

 

 

 

가사

메김

 

 

 

 

 

받음

 

 

 

 

 

 

  <치기나칭칭>의 장단과 주요 리듬을 지도할 때는 굿거리(덩-기덕/쿵 더러러러/쿵-기덕/쿵 더러러러)로 시작해서 중간에 자진 굿거리 혹은 자진모리로 빨라져서 다시 제 속도로 돌아오는 식으로 속도 변화가 있는 점을 잘 살리면 학습에 흥미를 더할 수 있다.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부분은 구성지게 메기는 것이 좋고 자진모리장단 부분은 경쾌하고 박진감 있게 부르도록 한다. 맨 마지막 부분에서는 속도를 아주 느리게 늦추면서 여유있게 종지한다.

  꽹과리, 장구, 북, 징과 같은 악기로 반주하면서 부를 수 있는데, 메기는 소리에서는 악기를 치지 않고 받는 소리에서만 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치기나칭칭>은 마을의 남녀노소가 한데 어울려 춤을 추면서 놀이와 곁들여 불려진 노래이므로 그러한 놀이를 흥겹고 간단하게 재현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