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도방법
(1) 음계와 시김새 고성<방아소리>는 경상도 소리지만 전라도 육자배기토리의 영향이 있으므로, 육자배기토리처럼 ‘미’를 떨고, ‘라’를 평으로 내고, ‘도’를 꺾어 ‘시’로 흘러내리도록 하면서 주요음들의 유기적인 관계와 시김새를 파악하도록 한다. 또한, 곡 전체의 구성음을 높은 음부터 차례로 ‘레·도·시·라·솔·미’로 이어서 흘러내림 음계를 익히면서 평으로 내는 ‘라’와 떠는 음인 ‘미’에서는 음의 길이를 두 배로 길게 하여 주요골격음을 인식시켜 줄 수 있다.
(2) 장단과 주요리듬 <방아소리>의 장단을 익히기 위해서 굿거리 장단(덩-기덕/쿵 더러러러/쿵-기덕/쿵 더러러러), 혹은 중중모리 장단(덩-덕/쿵덕덕/쿵쿵덕/쿵-쿵)을 장구로 쳐주고 구음을 따라하게 한다. 장구가 없을 때는 무릎을 장구 삼아 장단을 치면서 장구 구음을 실감나게 해야한다. 또한 정간보에 굿거리 장단의 장구구음과 함께 가사를 붙여 리듬을 말로 익히도록 할 수 있다.
토속민요는 통속민요처럼 리듬의 변화가 많지 않지만 장단 학습을 위해서 굿거리장단과 중중모리장단을 여러 가지로 변형시키면 리듬을 따라가기가 더욱 쉽고 지루함이 없어질 것이다.
굿거리장단의 기본형과 변형
중중모리장단의 기본형과 변형
<방아소리>의 가창에 있어서 ‘오오우 바앙애’에서 처음 ‘오’를 말하듯이 소리내어 재미를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방아소리>는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먼저 선창자가 독창으로 소리를 하면 나머지 사람들이 모두 함께 같은 소리로 이를 따라 반복한 후 선창자는 가사를 바꾸어 가며 노래하고 후창자들은 같은 소리를 반복하는 형식이다. 교사가 메기는 소리로 재미있고 실생활에 가까운 내용의 가사를 많이 불러주며 학생들에게도 그렇게 하도록 유도하면 창의적인 학습시간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