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도방법

 

(1) 음계와 시김새

  한 장단씩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이곡은 선소리꾼이 먼저 받는소리를 메기면 두레꾼들이 그 소리를 받는다. 이곡은 받는소리의 종지음이 ‘레’이기 때문에 ‘솔’이나 ‘도’로 종지하는 경토리의 곡과 다른 느낌을 준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솔’이나 ‘도’로 종지하는 경토리의 곡과 이곡을 비교하여 지도한다.


(2) 장단

  이 곡은 3소박 4박자인데 장단을 치자면 굿거리가 적당하다. 현지에서는 못방구라는 북으로 일정한 패턴의 장단을 처음부터 끝까지 친다. 아래에 가사 붙임새에 따른 북장단과 장구장단을 정간보로 기보하였다.

 

북장단

 

 

 

 

장구

기호

 

i

 

 

i

 

장단

구음

 

기덕

더러

러러

 

 

기덕

더러

러러

 

 

 

 

 

 

 

  <몸돌려>는 메기는 소리와 받는소리가 대체로 평이하지만 학생들에게 가창 지도를 할 때는 받는소리부터 지도하는 것이 좋다. 이 곡의 학습을 통해서 경토리 민요의 특징을 이해하고, 농사과정에 따른 다양한 농요의 종류와 특징을 익히며, 노동요를 통하여 일의 동작과 선율의 흐름을 이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