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단소에 대하여


  1. 단소의 율명


  우리나라의 전통음악에는 12개의 음이 있는데, 이를 ‘율(律)’이라 하며, 그 이름을 ‘율명’이라고 한다. 읽을 때는 율명의 앞글자만 따서 읽는다. 으뜸음인 ‘황(黃)’은 피아노의 Eb음에 가깝다.


        94_1.jpg


  12율에서 한 옥타브 위의 음은 율명의 한쪽에 ‘’을, 두 옥타브 위의 음은 ‘’을 붙이고 한 옥타브 낮은 음에는 ‘’을, 두 옥타브 낮은 음에는 ‘’을 덧붙여서 나타낸다.

 

               [예]

            94_2.jpg


  단소도 다른 악기와 마찬가지로 여러 음들을 소리낼 수 있으나 12율 중 ‘중, 임, 무, 황, 태’의 5음이 주로 사용되며, 다음으로 ‘남’과 ‘협’음이 많이 사용된다.

  단소에서 기본음은 ‘仲, 林, 無, 黃, 汰’로 표기하며, 높은음은 ‘’이다. 단소에서 사용하는 율명과 오선보 표기, 그리고 운지법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