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민요 학습지도안(Ⅱ) - 참고곡 -
■ 기와 밟기 (1,2학년용) |
|||
|
|||
<강강술래>는 남부 해안 지방에 전래되고 있는 놀이노래이다. <강강술래>는 <긴 강강술래>, <자진 강강술래>, <남생아 놀아라>, <청어엮자>, <청어풀자>, <고사리 꺾자>, <덕석말자>, <덕석풀자>, <기와밟기>, <쥔쥐새끼>, <문열어라>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강술래>는 많은 인원이 여러 가지 놀이와 노래로 지루한 줄 모르고 재미있게 놀 수 있기 때문에 권할만한 학습자료이다. <기와밟기>는 여러 사람이 횡대로 길게 늘어서서 발목을 잡고 엎드린 등위를 노래를 부르며 걸어가는 놀이노래이다. 노래와 장단을 배우고 놀이도 곁들여 해보기 위해 여기에 소개한다. 6학년 음악교재에 나온 <고사리끊자>와 연이어서 해보면 좋을 것이다.
1. 강강술래에 대해 이야기한다. - <강강술래>에 대해 아는지 묻고, 설명해준다. - <기와밟기>는 <강강술래>의 일부임을 일러준다.
2. 노래부르기, 세마치 장단 치기, 놀이로 해보기 ① 세마치 장단 치기 - 리듬치기를 단계적으로 학습한다. (리듬치기 단계는 4학년 민요지도안의 <아리랑>항을 참고한다.) - 반복 학습하여 익숙하게 한다. ② 노래부르기 - 교사의 범창이나 토속민요 tape(새세대 전래동요 tape)을 감상케 한다(아동은 노래에 맞춰 장단을 쳐본다). - 따라서 부른다. - 교사 : 아동, 아동 : 아동이 2마디씩 주고 받는다. - 교사 : 아동, 아동 : 아동이 장구반주 · 노래의 역할을 분담한다. ③ 신체활동 : 놀이로 해보기 - 횡대로 서서 서로 어깨가 붙게 가까이 선다. - 전부 엎드려 발목을 잡는다. - 한 사람씩 일어나 등 위를 걷는다(걷는 사람이 소리를 메기면, 엎드린 사람들은 소리를 받는다).
3. 평가 ① 세마치장단은 잘 연주하는지! ② 장구반주는 노래에 잘 맞게 하는지! ③ 졸이방법을 익혔는지!
1. 발성은 자연스럽게 하도록 한다. 2. 장구연주와 노래의 가락에 변화를 주어 연주해 보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