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리랑

                                                                                                                                 4학년 10쪽

학습목표

 1. 민요의 특징을 살려 노래한다.

 2. 메기고 받는 가창 형식으로 노래한다.

 3. 장구 장단(세마치)을 익힌다.

        학습단계

구                분

교수 - 학습활동

준비물 및

지도시 유의사항

교      사

아      동

도      입

  · 각 도의 아리랑을 비교·감상한다.

  · 각 도 아리랑의 기능(용도)과 음악적 특징, 가창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 제재곡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 각 도 아리랑을 듣고 느낌을 발표한다.

  · 각 도 아리랑 감상하고 발표한다.

 

 

 ·준비물 : 각 도의 아리랑이 녹음된tape, 녹음기 , 장구

 

 

 

전      개

        ~ 제재곡 부르기 ~

 · 제재곡을 부를 수 있는 2~3명    의 아동을 지명하여 부르게    한다.

 · 전문 창자의 녹음tape을 들려    준다.

   - 아동이 부른 것과 어느 부       분이 다른지 설명한다.

 · tape의 앞부분만을 들려주고    나머지 부분은 마음속으로 부    르게 한다.

 · 맛을 내어 합창으로 해본다.

 

   ~ 메기고 받으며 부르기 ~

 · 3~4 part로 나누어 1part가 메    기면 나머지는 받는다.

   - 역할 교대

 

    ~ 세마치 장단 익히기 ~

 · 합창하면서 원박만을 짚어보    게 한다.

   - 가사에 맞춰 3박자를 손뼉       으로 치게 한다.

 · 다음 순서에 의해 리듬연습을    단계적으로 학습한다.

  img1.gif

 · 3파트로 나누어 번갈아 역할    교대한다.

   - 장단, 노래, 감상

 · 장단에 맞춰 노래한다.

 

    ~ 가사 만들어 부르기 ~

 · 새로이 메기는 부분 가사를    지어본다.

 · 창작된 가사로 장단치며 메기    고 받아 본다.

   - 2개 파트로 나누어 1파트는      소리 메기고, 나머지 파트는      간단한 장단치고

   - 받을 때는 모두 장단치며       합창

 · 몇 아동을 지명하여 소리를 메기게 한다.

 

 · 지명된 아동은 노래를 한다. 

 

 

 · 급우가 부른 <아리랑>과 비    교·감상한다. 

   - 비교하여 다른 점을 실연       (實演) 또는 말로 해본다. 

 

 

 

 

 

 

 

 

 

 

 

 

 

 

 

 · 양손으로 책상을 치거나, 돌    아가며 장구를 쳐본다. 

 

 

 

 

 

 

 

 

 

 

 · 주변생활 내용을 가지고 가    사 짓는다. 

 

 

 

 

 

 · 나머지 아동은 장단 쳐주며    감상한다. 

 

 

 

 

 

 

 

 

 

 

 

 

 

 

 

 

 

 

 

 

 

 

 

 

 

 ·3分拍으로 표기함 

 

 

 

 

  

 

 

 

 

 

 

 ·새로운 가사는 주변   생활과 가까운 내용   을 주제로 한다. 

 

 

 

 

 

 

정      리

 · 민요의 가창형식, 장단법을 이야기한다.

 · 민요의 멋을 이야기 해본다.

 · 수업시간에 한 내용을 정리해서 발표한다.

 

 

평      가

 1. 민요의 느낌이 나도록 특징을 잘 살렸는지?

 2. 가사를 각자가 만들어서 소리 메길 수 있는지?

 3. 장단을 노래와 어울리게 치는지?

 

곡목해설

 

  <아리랑>은 경기도 민요의 하나로 본조(本調)아리랑이라고도 불리운다. 장단은 세마치이고 음계는 ‘솔·라·도·레·미’로 되어 있고 ‘도’로 마친다. 각 지방 아리랑의 원류같이 생각되기 쉬우나 곡조로 보아 유행가 작곡가의 창작설이 가장 유력하다. 이 곡이 널리 불리게 된 이유의 하나는 곡이 현대적이고, 부르기 쉽고, 거기에 곁들여 일정(日政)치하에서 민족적인 감정과 울분을 쉽게 얹어 부를 수 있었기 때문이라 하겠다. 이 곡은 놀이 또는 노동과 관련된 민요라기보다는 唱者의 애잔한 마음을 그려 나타내는 서정요라 할 수 있다.

 

지도시 참고내용

 

1. 세마치장단을 장구로 반주해 본다.

  · 장구로의 민요 반주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노래하는 唱者가 노래를 잘 부를 수 있도록 흥을 돋우어 주어야 한다. 또 민요의 멋이 한껏 드러날 수 있도록 노래와의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노래의 반주임을 감안한다면 노래의 가사나 가락이 잘 들리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휴지부와 같은 데서는 공백을 메워줄 수 있는 기능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노래반주에서 기본 리듬형의 반복은 창자의 흥을 돋울수도, 민요의 멋을 낼 수도 없게 될 것이다.

그래서 지도안에 제시된 악보처럼 몇 가지의 장구 리듬형을 익숙하게 연습한 다음 노래의 리듬형과 조화하도록 반주를 해본다. 예컨대 노래의 리듬이 ♩.♪♫이나 ♫♫♫일때는 img2.gifimg3.gif (지도안의 3분박 장구형으로 치도록 한다)와 같은 리듬형이 어울릴 것 같고, 작은 악절의 마지막 마디에는 기본 리듬형인 img4.gif으로 반주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특히 유의할 점은, 곡의 중간에는 打點이 많지 않게 하여 박자만 짚어 주는 식의 반주가 되어야 하고, 노래의 연결 부분이나 휴지(休止)부분은 잔가락도 넣고 크게 쳐서 흥을 돋아 주어야 한다. 비단 <아리랑>에만 해당하는 반주방법이 아니니 유념해 두도록 하자.

 

2. 메기고 받는 식으로 노래하고 메기는 부분의 가사를 만들어 본다.

  · 가사의 예 :

    아리랑 고개는 열두 구비

    열두 구비 고개를 넘어 간다.

    (후렴)

    아리랑 선생님 스리랑 친구

    아리랑 노래를 불러나 보세

    (후렴)

img5.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