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기초
기능
이해
|
▣ 동기
유발
▣ 학습
내용
확인
▣ 전래
동요의
음구성
이해
|
■ 동기유발
·
여러분들이 컴퓨터로 가장 많이 하는 게 무엇이예 요?
- 게임, 인터넷, 공부 등
·
컴퓨터로 음악을 만들어 본 일이 있나요?
- 없어요.
·
그럼, 오늘은 여러분이 작곡가가 되어서 선생님과 함께 컴퓨터로 가락을 만들어 보도록 합시다. 자, 시작해 볼까요?
- 네.
■ 학습목표 확인
·
오늘은 컴퓨터를 이용해서 매롱이 소리에서 나오는 3음을 이용한 가락짓기를 해 보겠어요.
·
선생님이 만든 소리나는 정간보 프로그램을 이용하 면 쉽고 재미있게 할 수 있어요.
■ 매롱이 소리의 구성음 찾기
·
매롱이 소리에 사용된 음을 찾아봅시다.
- 미, 솔, 라, 도입니다.
·
그 중에서 가장 자주 사용된 3개의 음을 말해 봅시 다.
- 미, 라, 도입니다.
·
오늘은 여러분이 찾은 미, 라, 도의 3음을 가지고
가락을 만들어 볼 거예요.
지난 번에 2음(미,라)을 가지고 가락 만들기를 해 보았으니 아마 오늘 컴퓨터를 이용한 가락짓기도 잘 할 수 있을 거예요.
■ 전래동요의 음구성 설명하기(메나리조)
·
제1형 - 미,라
·
제2형 - 미,라,도
·
제3형 - 미,솔,라,도
·
제4형 - 미,솔,라,도,레
·
제5형 - 다양한 음을 폭넓게 사용하는 것
■ 동부 민요조
·
시작음 : 미-라, 라-라, 도-라 진행한다.
·
종지음 : 라-솔-미, 라-라
·
상행시 주요 사용음 : 미-라-도
·
하행시 주요 사용음 : (레)-도-라-(솔)-미 |
3'
5'
5'
|
·
장구, 컴퓨터, 헤드셋, 프리젠테이션 자료
·
종이와 연필을 사용해서 가락짓기를 하는 것보다 훨씬 재미있고 간단함을 설명한다.
·
2음을 이용한 가락짓기를 한 내용을 상기시키며 연관하여 지도한다.
·자유롭게 창작한다고 하여 무작정 짓기를 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
표현
방법
탐색
표현
내면화
및
정리
|
▣ 가락의
움직임
이해
▣가락짓는
순서 및
방법안내
▣ 가락
짓기
▣ 만든곡
발표
▣ 느낌
적어보기
|
■ 매롱이 소리 가락의 움직임 살펴보기
·
가락이 어떻게 올라가거나 내려가는지 살펴봅시다.
·
가락이 올라가거나 내려갈 때
- ‘미’에서 ‘도’로 가거나 ‘도’에서 ‘미’로 진행 할 때 중간 음인 ‘라’를 거쳐서 진행되었다.
-
같은 음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 ‘라’로 시작해서 ‘라’로 끝났다.
·
네, 아주 잘 찾아냈어요.
·
그럼 이런 것을 기본으로 해서 우리도 한번 ‘미,라, 도’의 3음으로 가락짓기를 해 봅시다
■ 가사 제시하기
·
매롱이 학습지 1
- 지난 번 여러분이 바꾼 가사 중에서 재미있었던 것
을 골라서 선생님이 매롱이학습지 4번에 적어놓았
어요. 다같이 읽어볼까요?
(가사 : 개굴개굴 개구리 연못 위로 포올짝)
이 가사를 가지고 미,라,도의 3음으로 가락을 지어
봅시다.
■ 컴퓨터 활용 가락짓기
·
인터넷을 실행시켜서 선생님 홈페이지로 들어가세 요.
·
소리나는 정간보란 방이 있지요?
·
그 방에 들어가보면 2음 가락짓기와 3음 가락짓기
가 있어요. 오늘은 3음 가락짓기(메나리조)를 해 보
세요.
·
3음 가락짓기에 보면 메나리조 라고 표시되어 있어 요. 경상도 지방의 전래동요라 오늘은 메나리조로 해 보고,나 중에 육자배기조(미,라,시)로 전라도 가
락도 한번 만들어 보기로 해요.
■ 소리나는 정간보방에 들어가 3음으로 가락짓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가락짓기를 하고 마음에 드는 가락을 매롱이 학습지4에 적어 놓는다.
■ 다른 노랫말에 가락 붙이기
·
이번에는 여러분이 직접 노랫말을 만들고 정간보에 그 노랫말을 적은 후 그 노랫말에 어울리는 가락을 지어봅시다.
- 소리나는 정간보 프로그램으로 가락짓기를 하고 마음에 드는 가락을 매롱이 학습지4에 적어놓는
다.
■ 만든 곡 발표하기
·
자기가 만든 곡을 발표해 봅시다.
- 몇몇의 아동 곡을 다 함께 들어본다.
■ 창작한 후의 느낌을 과제 제출방에 올리기
·
3음 가락짓기를 하고 난 후의 느낌을 선생님 홈페이지
과제 제출방에 올려보세요.
글의 제목은 ‘매롱이 자기번호 자기이름’입니다.
◆
자기평가지에 가락짓기에 대한 자기평가하기
·
자기평가지에 표시해 본다. |
5'
2'
10'
10'
5'
10'
5' |
·다른사람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각자 헤드셋 을
착용하여 가락짓기를 한다.
·아동자신의 수준에 맞도록 하며 너무 복잡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가락이 다소 어색하더라도 칭찬을 하여 자신감을 갖도록 한다.
·가락짓기를 하고 난 후 자기 평가를 솔직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지도자료로 삼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