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꿉놀이(1)
 
[ 해설 ]
옛 아이들이 소꿉놀이 할 때 부르던 노래로, 문화방송이 1994년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달서구 갈산동에 사시는 이도리(여,1918)할머니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소꿉놀이는 또래집단끼리 혹은 두 서너 살 아래위 언니와 동생들이 서로 가족의 역할을 나누어 그들만의 언어와 문화로 또 다른 세계를 만드는 시간이었다. 여자아이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소꿉놀이에는 대화가 있고 노래가 있었다. 소꿉놀이에 불려지는 노래들은 소꿉놀이를 위한 노래라기보다는 자신들이 알고 있는 일반적인 노래를 상황에 맞게 부르는 것이 대부분으로 일반적인 노래는 소꿉놀이로 차용한 경우가 많다.
제재곡의 노랫말은 원래의 노랫말 일부분을 표준어로 고쳐 제시한 것이다.

(원래의 노랫말)
도랑 건너 사돈은
우에우에 사는게
말 매고 소 매고
아들 놓고 딸 놓고
광지리도 저리고
산대미도 저리고
박쪽 안에 대문 달고
세금파리 구들 놓고
그래도 제대로 사니더
(수정된 노랫말)
도랑 건너 사돈은
우에우에 사는고
말 매고 소 매고
아들 놓고 딸 놓고
광주리도 만들고
산대미도 만들고
박쪼가리 대문 달고
사금파리 구들 놓고
그대로 저대로 삽니다.


[ 주요지도내용 ]
*
*
*
*
*
*
교사의 범창이나 녹음자료를 이용해 제재곡 들려주기
소꿉놀이와 관련된 경험이야기 나누기
가락 익히고 노래하기
단모리 장단익히기
가사붙임새가 같은 장단 찾아보기
역할극 해보기


[ 지도방법 ]
노래하기
*
*
*
*
*
*
교사의 범창이나 녹음자료를 이용해 제재곡을 들려준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제재곡이 소꿉놀이 할 때 불렀던 전래동요임을 알려준다.
소꿉놀이를 해보았던 경험을 이야기로 나누어보게 하고, 발표하게 한다.
가사붙임새에 유의하면서 한 장단씩 따라 불러보게 한다. 경상도에 사는 어린이들은 수정된 노랫말보다는 경상도 말이 살아있는 원래의 노랫말대로 부르게 하는 것이 좋겠다.
소꿉놀이는 빠른 2소박 4박의 단모리장단이 어울린다.
 
 
*
단모리 장단에 맞춰 부르게 한다.
    
 
*
학생들로 하여금 단모리 장단을 먼저 구음으로 표현해보게 한 후, 장구 혹은 무릎을 장구삼아 치게 한다. 소꿉놀이는 초등학교 저학년 혹은 중학년의 학생들에게 적합한 노래이므로, 기본 장단만 지도하도록 한다.
 
    
 
*
가사 붙임새가 같은 장단들을 찾아보게 한다.
 
놀이하기
*

*

소꿉놀이를 통하여 가족들의 역할에 대하여 알게 한다. 놀이에 앞서 선행학습으로 가족들이 무슨 일을 하는지 관찰해 보고 관찰한 내용을 발표하게 한다.
모둠끼리 협동하면서 여러가지 역할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