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수심가

           179.jpg

 

 

엮음수심가

180.jpg

 

  1) 수심가(愁心歌)는 어떤 노래인가


  육자배기가 전라도 민요의 대표격이라면 수심가는 서도민요의 대표격이다. 육자배기토리가 남도민요의 특징인 것처럼 수심가토리가 서도민요의 특징인 것도 마찬가지이다. 가사가 시조처럼 세 부분으로 되어 있는 것도 유사한 점이다. 수심가는 직접적으로 서도창의 기본이 되고 있는데 그것은 많은 서도창이 수심가 곡조로 끝을 마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엮음수심가도 수심가 곡조로 끝을 마치고 공명가나 영변가 등의 서도잡가들도 수심가 곡조로 끝을 여민다.


  수심가 곡조의 됨됨이는 처음은 낮은 음으로 ‘응응’거리고 떨며 시작해서 차츰 단계적으로 올라가 높은 음까지 갔다가 다시 서서히 단계적으로 내려와 낮은 음으로 끝나는 것과 처음은 높은 음으로 질러내어 폭발하듯이 시작해서 차츰 차츰 단계적으로 내려와 낮은 음으로 마치는 것 두 가지 형태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공명가 같은 다른 노래의 마지막을 장식할 때에는 낮은 음으로 시작하는 수심가 곡조를 많이 사용한다.


  수심가는 5도 위에 3도를 쌓아올린 3음을 기둥으로 하는 음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중간음을 가장 격렬하게 코와 목안에서 ‘응응’ 거리고 끌어당기듯 떠는 것이 특징이다. 전라도의 떠는 음이 밖으로 내밀면서 떠는 방식이라면 서도의 떠는 음은 밖에서 안으로 끌어당기며 떠는 식이라고 할 수 있다. 떠는 음의 위치도 전라도는 아래 음을 떠는데 서도는 중간음을 떤다. 이와 같은 음조직은 수심가의 기본 구조이긴 하지만 그 외의 음들도 소리를 만들고 꾸미는 과정에서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다. 떠는 음도 기본적으로 중간음은 반드시 떨지만 다른 음들도 길게 뻗으면서 소리를 지을 때에는 목안에서 ‘응응’ 거리고 떨며 소리를 구성지게 만든다.


  수심가를 처음 들으면 하염없이 자꾸만 소리를 만들면서 푸념을 하는 것처럼 들린다. 그러나 자세히 들어보면 세 구절로 되어 있는 각 구절을 마칠 때 마다 끝의 두세자를 가지고 졸음목을 써서 소리를 짓고 단락을 만든다. 그렇게 각 구절의 마지막만 악절이 분명하고 중간은 부르는 사람에 따라서 또 경우에 따라서 다양하게 부르기 때문에 얼핏 보면 장단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 실제 이창배 선생님은 수심가의 장단이 불규칙해서 장단이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라는 말씀을 나에게 해 준 적이 있다. 그 대신 가사 하나 하나에 시김새를 넣어 부르는 사람의 정한을 마음껏 표현하는 묘미가 있다.


  엮음수심가는 수심가에 잇대어 부르는 노래이다. 마치 육자배기에 대한 자진육자배기와 같은 것이다. 짝을 이루는 노래이다. 엮음수심가의 곡명이 나타내듯이 엮음수심가는 가사가 길고 많은 글자 수로 되어 있는데 앞부분은 엮듯이 주섬주섬 빠르게 부르다가 맨 마지막은 완전한 수심가 곡조로 마치게 된다. 앞부분에 엮어 부르는 부분이 있어서 엮음수심가인지 모른다. 하여간 짝을 이루는 민요가 대개 느린 것에서 빠른 것으로 진행하는데 수심가와 엮음수심가의 경우는 느리고 빠른 것 외에 가사의 글자 수가 많아 엮어 부른다는 것이 첨가되는 짝의 형식이다.


  수심가의 사설은 시조와 같이 세 구절로 되어 있는 시와 같은 것이 대부분인데 엮음수심가의 사설은 한문 투로 된 굉장히 긴 산문이 주류를 이룬다. 그러나 마칠 때 쯤의 가사는 모든 것을 체념하듯 세 구절로 된 수심가 식의 가사를 쓰고 수심가 곡조로 마치게 된다. 수심가와 엮음수심가는 평안도 민요이지만 서도창의 기본이 되기 때문에 그냥 서도민요라고 하는 것이 온당하다는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