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굿거리 장단 굿거리 장단의 빠르기와 리듬은 다음과 같다. · 굿거리 장단 ♩.=66~90
구음 : 떵기덕 쿵 더러러러 쿵기덕 쿵 더러러러
위의 장단을 편의상 의
|
(1)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으로 나눌 수 있음을 이해시킨다. (2) ♩.=♪+♪+♪의 개념을 확인 시킨다. (3) ♩ ♪ ♪ ♩ (하나둘) (셋) (넷) (다섯여섯)의 박자 개념을 이해시킨다.
(4) (5) 떵 덕 쿵 덕의 구음을 하게 하고 악보 아래에 붙인다.
(6)
(7)
(8) (9) 어린이를 두 팀으로 나누어 구음을 부르게 한다. (10) 교사는 우리민요인 풍년가를 직접 부르거나 테이프로 들려주며 장구로 장단을 치고 아동들은 거기에 맞추어 구음인 ‘떵 덕 쿵 더러러러’에 풍년가 음율을 붙여 부르게 한다.
(11) (12) 학급전체, 분단별, 개인별로 각각 시켜본다.
|
(1) 기습한 구음을 하면서 장단을 쳐보게 한다. (2) 굿거리 장단은 여러 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실제연주와 함께 알려준다. (3) 아래의 장단들을 먼저 구음으로 익히게 하고 그에 따라 장단을 쳐보게 한 다음 악보로 확인케 하는 방법으로 각각 학습시킨다.
(4) ⑧, ⑨, ⑩은 2박+2박+2박+3박+3박의 형태로 변형된 장단이다. (5) 각 장단이 주는 분위기의 차이를 서로 이야기하게 한다. (6) 구음창은 단순한 리듬창이 아니라 음의 높낮이도 있음을 주지시킨다. (7) 두 편으로 나누어 한 편이 장구를 치면 한 편은 장단에 맞추어 걸으면서 구음과 신체표현을 해보게 한다. (8) 장단을 변화시키며 노래해준다. (9) 배운 장단을 치면서 노래하며 멋과 흥을 느끼게 한다. (10) 노래하면서 굿거리 장단을 변형하여 쳐보게 한다. (11) 피아노 반주와 장구반주로 각각 노래하게 하여 그 차이를 느끼도록 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