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자료 및 기구
1) 자료 ㉠ 5선 악보와 그림 악보 ◆ 5선 악보는 제시했지만 5선 악보를 통하여 판소리를 지도할 때에 어려움이 뒤따른다. 첫째, 판소리 창자의 그 음 그대로 채보하는 것이 어려워 바른 음정 표시가 어렵고 둘째, 5선 악보를 통해 판소리를 지도하면 서양 음악 발성법을 따라 가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채보한 5선 악보는 그림 악보를 구안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일 뿐이지 수업 시간에는 그림 악보를 통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창작활동 학습지 ◆ 열린 교수 학습 과정안 2차시에서 사용되는 창작 활동 학습지는 교사의 도움이 없이도 스스로 찾아가며 창작 활동을 할 수 있게 구안되었다. ◆ 따라서, 교사는 창작 활동 시에는 교실을 순회하면서 활동을 어려워하는 어린이를 도와주어야 한다. ◆ 또한, 선택 활동 학습지도 구안하여 현대 음악과 국악의 연결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구안하였다.
㉢ 자기 평가표 ◆ 자기 평가표는 창작 활동 시에 각 활동 코너에 비치해 놓아 자리 활동 학습지가 끝나면 스스로를 점검할 수 있도록 만든 간단한 평가지이므로 교사는 이 평가지를 수행 평가에 간접적인 자료로 삼을 수 있다.
㉣ 감상곡 ◆ 판소리 “흥보가”의 박을 타는 대목 (휘모리) ◆ 판소리 “흥보가”의 박을 타는 대목 (진양조)
㉤ 소리 북의 이해 자료 ◆ VTR TAPE : “우리 음악의 이해” - 국립국악원
2) 기구 - 프리젠테이션 ① 제재곡의 개관 ② 공부할 문제 1, 2차시 분 ③ 학습 활동 안내 1, 2차시 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