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귀 꿰기
 
· 일쇄 동방에 결도량 : 동쪽으로 한번 물을 뿌려 도량을 깨끗이 한다
· 이쇄 남방에 득청량 : 두 번째로 남쪽에 물을 뿌려 청량함을 얻는다
· 삼쇄 서방에 구정토 : 세 번째로 서쪽에 물을 뿌려 지역을 정화한다는 뜻
· 사쇄 북방에 연안감 : 네 번째로 북쪽에 물을 뿌려 길이 평안하고 건강하게 한다는 뜻
 
[ 해 설 ]
  해남 강강술래에서는 불려지지 않으나 진도의 강강술래에 함께 짜여지는 노래로서 빠르기가 빠르고 단모리 장단에 어울리는 곡이다.
   바늘귀에 실을 꿰는 행위와 다섯 방위에 대응하는 색깔을 연관시키는 노랫말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동쪽은 파란 색, 서쪽은 흰 색, 남쪽은 붉은 색, 북쪽은 검은 색, 중앙은 주황색과 연관되어 있어서 처용무의 다섯 무용수들의 연주복 색깔이 이에 근거한 것이며, 제례음악에서 악기를 배치할 때 흰색이 칠해져 있는 어는 서쪽에, 파란 색이 칠해져 있는 축은 동쪽에 배치한다. 이렇듯 우리의 옛 생활 주변에는 음양오행 사상이 곳곳에 반영되어 있다. 아이들이 이와 같은 의미와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여 이해할 수 있게 하면 노랫말 뜻을 알 수 없는 어려운 한문 노랫말의 내용도 거부감이 들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를 반영한 노랫말을 지어 불러보게 하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 주요지도내용 ]
*
*
*
*
*
*
*
바늘과 실에 대한 용도 및 실뜨기 이해하기
노랫말의 내용과 음양오행 사상의 의미 이해하기
붙임새 익히기
가락 익히고 노래하기
시김새를 표현하며 노래하기
단모리 장단 익히고, 장단 치며 노래하기
노랫말을 바꿔 노래하기


[ 지도방법 ]
노래하기
1. 붙임새
 
*  이 노래는 4가지 유형의 붙임새로 이루어져 있다 .
 
 
    받는소리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1)은 3소박의 첫 박에 균일하게 노랫말을 붙이는 붙임새이며, 2)은 "따단-따단-"하듯 첫 노랫말인 '바', '귀'는 짧게, 두 번째 노랫말인 '늘', '나'는 길게 노랫말을 붙이고 나머지 '뀌자'는 1)과 같은 방식이다. 우선 느리게 노랫말을 붙여 익히고 익숙해지면 제 빠르기로 붙임새를 표현하게 한다,
 
 
3소박 2박자씩 둘로 나누면 서로 대조되는 붙임새이다. 즉 첫3소박 2박자는 '일쇄 동방에' 부분은 "딴-따 다다다"처럼 첫 노랫말인 '일'은 길게, 다음 노랫말 '쇄'는 짧게 붙인 후 '동방에'는 균등하게 노랫말을 붙인다. 다음 3소박 2박자는 이와 반대로 첫 노랫말 '제'는 짧게, '갈'은 길게 붙인 후 '영'은 3분박의 길이만큼 붙이도록 지도하면 된다.
   
 
 
3)의 첫 3소박 붙임새의 변형이라 할 수 있다. '파'는 짧게, '랑'을 길게, 나머지 '뀌자'는 3분박씩 노랫말을 붙여준다.
   
   
* 4) 붙임새의 경우, 3번째 메기는 소리 노랫말인 '흔실이나 뀌자'에서 '흔'만 변형되고 나머지 노랫말들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각 유형의 붙임새를 나누어 익히게 한 후 익숙해지면 전체를 연결하여 붙임새를 표현해보게 하며, 메기고 받는 모둠으로 나누어 주고 받아보게 한다.  
 
2. 가락 및 시김새
*
가락은 약간의 변형이 있는 3가지 유형의 간단한 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2가지 유형의 가락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먼저 받는 소리에서 '바늘귀나'의 동일음 2박 진행에 이어 도약 상행하였다가 다시 도약 하행하는 가락이고, 두 번째는 도약 상행 후 하행하지 않고 동일음으로 진행하는 가락이다.
 

 

 

5번째 소박에서 6번째 소박으로의 도약 하행 후 다시 상행하고, 마지막 4번째 박자에서 '꺾는 소리'를 표현하는 가락이다.
 

 
    1)과 비슷한 가락인데, 4번째 소박에서 5번째 소박으로의 도약 상행하는 가락만 차이가 있다.
     
*
빠르기가 빠른 노래에서의 도약 진행이나 '꺾는 소리'와 같은 시김새 표현은 자칫 뭉뚱거려질 수 있다. 각 유형의 가락을 느린 장단에 어울리도록 지도한 후 제 빠르기로 지도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
붙임새와 가락의 진행을 익숙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되면 모둠별로 메기고 받는 소리를 불러보게 한다. 노래하기에 자신 있는 아이가 있다면 혼자 메기고 나머지 아이들이 받는 소리를 해보게 하는 것도 좋다.
 
3. 노랫말 바꾸기
*

모둠별로 아이들이 직접 노랫말을 바꿔 불러보고 발표하게 한다. 이 노래의 노랫말에는 바꿔 부를 수 있는 내용이 풍부하다.
@ 사투리 표현인 '뀌다'의 의미가 아닌 발음을 사용하여 노랫말 바꾸기
@ 꿸(구멍에 낄) 수 있는 특성을 지닌 행동과 관련된 노랫말 바꾸기
@ 다양한 색깔의 표현과 관련된 노랫말 바꾸기
@ 방위(방향)과 관련된 노랫말 바꾸기

 
 
4. 장단
*
*
*

이 노래의 장단은 자진모리 장단이다.
장단의 첫 박과 아홉째 박을 강하게 표현하게 해야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에 적합한 노래이므로, 원형 장단만이 아닌 변형 장단을 표현해보게 하는 것도 좋다. 장단은 붙임새 유형에 따라 맞춰 선택하여 표현한다. 먼저 구음으로 교사를 따라 표현해보게 한 후, 장구 혹은 무릎을 장구 삼아 치게 한다.